동네 민원행정을 처리해온 주민센터가 '행정복지센터'로 바뀐다. 명칭뿐만 아니라 업무에 있어서도 복지서비스에 대한 비중이 높아진다는 의미일 것이다. 이제야 우리 동네 그늘진 곳에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고 기대한다. 찾아가는 복지서비스에 의의를 둘 수 있다. 이로써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소외계층에 대한 방문 상담을 통해 제도와 개인사정에 맞는 복지 혜택도 안내할 수 있게 됐다.

빈곤이 재생산되는 대한민국의 현실을 다소라도 극복하기 위한 측면에서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는 늦은 감이 없지 않다. 경제적 양극화에 따른 빈곤 가정과 의지할 곳 없는 독거노인들의 알려지지 않은 형편들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일단 이 제도의 취지는 우리 사회에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고 최소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겠다는 공동체의 복원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 그동안 복지행정인력의 부족, 행정업무의 과중 등을 이유로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웃을 방치해 왔다. 충분한 복지 지원제도가 있다고 하더라도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연일 우리 사회에서 소외된 이웃의 비참한 생활상이 보도돼 왔다.

복지는 재정을 투입해 당장 불편한 문제 등을 해결하는 기능을 수행해 왔다. 막대한 재정이 필요한 영역이라서 제도를 바꾸고 인원을 몇 명 더 늘린다고 해서 복지사회의 기틀이 완전하게 갖추어진다고 확신할 수는 없는 일이다. 결국 인간이 사회 속에 존재할 때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발휘하게 되는 것처럼 이웃과 함께 한다는 나눔과 베품의 정신을 공유하지 않고는 아무리 좋은 제도를 펼친다고 해도 그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싱글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요즈음에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기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그래서 마을 복지는 동네 주민들의 관심과 성원 없이는 괄목할만한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번 마을 복지의 허브화를 행정제도를 통해 구축하겠다는 의지는 환영한다. 동시에 마을을 구성하는 시스템, 즉 기업과 공공기관, 주민 모두가 이웃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소외계층을 지원하는 일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우선, 우리 동네 복지 사각지대의 대상이 누구인지 발굴하는 전수작업부터 시작해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