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통령 선거가 끝나면 해경이 다시 독립 외청으로 환원돼 인천으로 되돌아올 가능성이 커졌다. 해경 본부를 인천으로 환원시켜야 한다는 인천의 외침에 대선 후보들이 적극적으로 응답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인천의 요구 그대로를 공약에 반영했다.

이번 대선을 앞두고 인천에서는 해경 부활 및 인천 환원이 지역 핵심 공약으로 꼽혀왔다. 해경은 2014년 4월 세월호 사태 때 구조부실로 그해 11월 국민안전처 산하 해양경비안전본부로 재편됐다. 이어 지난해 8월에는 인천 송도에 있던 본부가 국민안전처의 세종시 이전에 맞춰 인천을 떠나갔다. 1979년 해경 본부가 부산에서 인천으로 옮겨온 이래 해경은 40여 년간 인천시민들과 고락을 함께 해왔다. 해경의 인천 환원에 대한 시민들의 기대가 이해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차제에 최근 수년간 해경이 왜 그러한 처지에 처했는지도 되짚어 봐야 한다. 해경은 세월호 사태 당시 전 국민이 목도하는 가운데 참으로 이해되지 않는 무능과 무기력을 보여줬다. 뻔히 바라다 보이는 가까운 연안에서, 풍랑이 거센 것도 아닌 상황에서 어린 생명들을 구해내지 못했다. 당시 영상으로도 생생하게 비쳐진 해경의 모습은 전 국민의 공분을 자아내고도 남을 세월호 선장과 승무원들을 우선적으로 구출한 것 뿐이다.

결과적으로 연간 1조원이 넘는 세금을 쓰는 해경이, 어린 학생들에게는 꼼짝 말고 있으라고 하고는 몰래 배를 빠져나온 그들을 맨 먼저 구해낸 것이다. 당시 국정감사에서도 해경의 지휘부가 현장 경험이 없고 평소 구조 훈련이 부족했던 사실 등이 밝혀졌다.

해경은 조직 해체로 중국어선 나포율이 해마다 떨어지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 역시 이해가 안된다. 해경은 해체된 것이 아니라 수사·정보 기능만 육경으로 이관됐기 때문이다. 장비와 인원, 예산은 그후 계속 늘어났다.

그래서 해경 부활이라는 용어가 적절한지도 생각해 볼 문제이다. 해경 중추부가 인천에 되돌아 온다는 점은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세월호 때의 모습이 아닌, 새로이 거듭난 해경이라야 인천시민의 자랑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