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계곡'서 벌이는 '희망의 삽질' … 철책 무너질 때 눈물 바람
전쟁 잔해 가득한 옛 플랫폼 … 찢어진 검정고무신에 가슴이 철렁
▲ 자유교 휴전 협정 이후.
▲ 자유교 복원 공사.
2000년 6월 15일, 분단 반세기 만에 남북의 정상이 '6.15남북공동선언'을 한 후, 그 해 9월 18일 전쟁으로 끊어진 경의선 철도·도로 연결 복원공사가 7000만 동포의 감격과 흥분 속에 시작되었다. 나는 그때 사진가로 선정되어 3년동안 비무장지대의 모든 공사과정을 사진 찍을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았다.

육군은 지뢰를 제거하기 위에 자체 개발한 '6단계 지뢰제거 작전'으로 32만㎡의 넓은 공사구간에 깔려있던 수만 발의 지뢰를 단 한 건의 인명사고 없이 모두 제거하는데 성공했다. 지뢰가 제거된 후 공사는 빠르게 진행되었다.

공사현장에 투입된 장병들과 민간인 기술자들은 휴일도 잊은 채 구슬땀을 흘리며 한 치의 오차도 없이 북으로, 북으로 공사를 진행했다. 문산에서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까지 12㎞는 한국에 의해, 군사분계선에서 봉동까지 12㎞는 북한에 의해 공사가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2001년 9월에 전쟁으로 끊어진 경의선 철길이 다시 이어지는 것이다.

남방한계선 철책선 앞 민통선에 도라산역이 완공되고 철길이 복원된 후, 서울 ↔ 평양 이정표가 세워졌지만 경의선 복원공사는 그곳에서 멈추고 말았다.

우여곡절 끝에 2002년 9월18일, 반세기 동안 소수의 작전병력 외에 어느 누구도 접근을 할 수 없었던 '남방한계선 철책선'이 무너지는 순간 쏟아지는 감격의 눈물을 참을 수가 없었다. 철책선 너머 비무장지대에 위치한 '죽음의 계곡'에는 철길이 다시 새롭게 놓여진 후 눈부신 햇살이 스며들었다. 그때부터 그곳을 '희망의 계곡'이라고 불렀다.

비무장지대의 옛 장단역 플렛폼이 그 모습을 드러내면서 수많은 전쟁의 잔해물들이 쏟아져 나왔다. 그중에서도 가슴을 아프게 한 것은 여자아이의 찢어진 깜장고무신이었다. 얼마나 다급했으면 고무신을 버린 채 뛰어갔을까. 깜장고무신의 주인은 할머니가 되었을 텐데 생존해 계신지 궁금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경의선 철도 복원공사는 또다시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을 넘지 못하고 2002년 11월9일, 육군은 그곳에 다시 몇 겹의 철조망을 굳게 쳐 놓았다. 분단 반세기의 벽을 넘기란 너무도 힘겹고 벅찬 것 같았다.

그러나 이 땅에 진정한 평화가 찾아오기를 염원하는 온 국민의 열화와 같은 함성이 녹슨 군사분계선 표지판을 제거하게 하였다. 군사분계선이 훤히 뚫리고 난 후, 도라산역에 쌓아놓았던 철도연결자재를 싣고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한에게 제공되었으며 그 자재로 북측 구간의 경의선 철도가 놓여지게 되었다.

2003년 6월14일 한국과 북한은 가랑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군사분계선에서 '철도연결행사'를 조촐하게 마련했다. 끊어진지 반세기가 지나서야 남북으로 철길이 연결되는 감격의 순간이었다.

경의선 철도, 도로연결 비무장지대 공사현장 사진을 찍으면서 절실히 깨달은 것은 오직 '평화'였다. 또한 북한은 하루속히 변화를 해서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한다. 전쟁은 승자도 패자도 없는 남북의 공멸을 가져올 뿐이다. 하지만 전쟁으로 끊어진 경의선 철도와 도로가 연결되어 남과 북으로 기차와 자동차가 달릴 수 있다면 북한은 빈곤에서 벗어나 풍요로움을 누리게 될 것이 분명하다.

오직 역사에 남을 한 권의 사진책을 남기고 싶은 마음으로 열심히 사진을 찍었으나 사진책 출판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로인해 마음고생도 많이 했다.

우여곡절 끝에 경의선 공사가 끝난 지 12년이 지난 2015년, 273쪽의 '경의선 통일의 길을 잇다'를 어렵사리 정부의 지원으로 출간하게 되었으나 또다시 공개를 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북한의 기습적인 미사일 발사와 그에 따른 개성공단 폐쇄 때문이었다.

전쟁으로 끊어졌던 철도와 도로는 군사분계선을 지나 남북으로 이어져 있다. 하지만 기찻길은 또다시 벌겋게 녹슬어 가고 있다.

경의선 기차를 타고 개성, 평양, 신의주를 거처 중국, 러시아를 달려 유럽까지 갈 수 있는 그날이 언제쯤일까? 그렇게만 된다면 남북 동포들이 동질성을 회복하는 동시에 평화통일의 기찻길이 될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그래서 경의선 기차가 힘차게 달려야 하는 이유다.


최병관 사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