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의정부시와 동두천시 시민들의 민심이 들끓고 있다. 미군 공여지 반환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물거품으로 될 처지에 놓였기 때문이다. 안병용 의정부시장과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은 지난해 말 서울 용산에서 만나 미군기지 캠프 스탠리(245만㎡)를 올해 안에 폐쇄하고 내년에 반환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경기도와 의정부시는 캠프 스탠리기지가 폐쇄되면 부지에 내년부터 민자 1조8000억원을 들여 노인 자족단지인 '액티브 시니어 시티' 등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최근 미군측은 기지를 폐쇄하더라도 훈련 중인 헬기의 중간 급유를 이유로 당분간 반환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혀 논란을 빚는다.

이런 사정은 동두천시도 마찬가지다. 동두천시는 지난해 3월 캠프 캐슬 반환미군기지에 조성한 동양대 북서울(동두천)캠퍼스를 유치키로 하고 도시계획에 반영했다. 그러나 토마스 밴달 주한 미8군 사령관은 지난 11일 "한국군의 역량이 갖춰질 때까지 210포병여단을 동두천에 잔류시키겠다"고 설명해 시민들의 분노를 샀다. 미군측은 한국정부에 대체시설 마련을 요청했지만 대안제시를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이유로 든다.

미군부대 잔류 소식은 의정부와 동두천 시민들에게는 정말 어처구니 없는 일이다. 약 반세기동안 미군부대로 인해 시민들은 각종 개발에 어려움을 겪어 오지 않았는가. 동두천시의 경우, 201포병여단 잔류로 지역경제에 미치는 피해도 아주 크다. 경기연구원은 동두천 캠프케이시 이전 계획지연으로 2020년까지 6년간 지역경제 피해액이 3조67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여기에 1952~2011년 미군 2사단 주둔에 따른 추정 피해액 17조4511억원을 더하면 피해액이 20조원을 넘어 선다고 한다. 미군잔류 이유만으로 상상을 초월할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이런 까닭으로 시민들의 분노는 하늘을 찌를 듯하다. 시민들은 정부가 시민들의 고통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주한 미군 눈치만 살피고 있다며 반발한다. 정부는 의정부와 동두천 시민들의 성난 민심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정부가 의정부와 동두천 지역의 들끓는 여론을 무시한다면 어떤 불상사가 닥칠지 모른다. 민심을 달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길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