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국립 박물관과 문화시설 유치에 잔뜩 의욕을 보인다. 하지만 좀처럼 성과를 내지 못해 아쉽기만 하다. 시는 현재 대여섯개의 국립 박물관과 문화시설을 유치하려고 이리저리 움직인다. 우선 지난 6월 말 정부에 국립 인천해양박물관 건립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서를 제출했다. 인천시는 수도권 주민을 대상으로 100만 서명운동을 벌이고, 지난 대선 과정에서 해양박물관 건립을 '인천 공약'에 반영해줄 것을 건의하기도 했다. 그야말로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 이 사업의 경우 오는 10월쯤 예타 대상 사업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농후하지만 그렇더라도 6개월 이상 타당성 조사를 거쳐야만 건립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다른 문화시설들도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치열한 유치경쟁을 펼친다. 이러니 인천시의 부담은 클 수밖에 없다. 정부가 지난해 지자체 간 과열 양상을 이유로 입지 선정을 늦춘 국립 한국문학관의 경우 서울이 유력한 후보지로 거론된다는 후문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역시 인천시가 부지 무상 제공 등의 제안을 내놓았지만 서울 송파구와 경기도 고양시 등지가 뛰어들어 결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연말쯤 부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서구 아시아드주경기장 인근에 부지를 무상 임대한다는 조건까지 내걸었으나 서울을 벗어나는 데 부정적인 내부 의견이 많아 서울 시내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세종학당 국내 거점을 송도국제도시에 설립하려는 계획도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있는 상황이다. 국립 철도박물관이나 문화 관련 박물관도 유치전을 벌이지만 여의치 않다.

인천시의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다. 여기서 인천시는 걱정에 앞서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을 유치한 경험을 되새겨야 한다. 박물관을 유치할 수 있었던 데엔 언론과 학자들의 힘이 컸다. 언론이 인천유치 명분을 의제로 설정하고 학자들과 공직자들이 머리를 맞대 치밀하게 준비했기에 가능했다.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이 있다. 각 분야의 전문가마다 자기 자리에서 맡은 바 역할에 최선을 다하자. 철저한 논리로 무장을 하고 현실적인 준비를 꼼꼼하게 한다면 인구 300만에 걸맞은 국립 문화시설은 하나 둘씩 인천으로 모여들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