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2주년을 앞두고 경기지역에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와 인권회복을 위해 만든 조각상 '평화의 소녀상' 열기가 뜨겁다. 소녀상은 1997년 8월 경기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 집에 처음 세워진 이후 20년 동안 경기지역 21곳에 건립됐다. 현재 추진중이거나 올해 광복절을 기점으로 건립을 완료하는 곳도 있다. 평화의 소녀상 건립이 다시 불붙은 이유는 무엇일까.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은 이를 여전히 부인하고 반성과 사과를 할 기미조차 없다. 지난달 24일 전 세계에 일본군의 만행을 알렸던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가 91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이로써 현재 생존한 위안부 피해 할머니는 37명이다. 전쟁의 아픔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기억하고 평화를 기원하려고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이 국내는 물론 해외 곳곳에 건립돼야 할 까닭이다.

소녀상은 비록 손으로 빚은 조형물이지만 민족의 아픔과 잊지 말아야 할 역사가 깃든 소중한 우리 민족의 정신적 자산이다. 수 년 전부터 지자체를 중심으로 평화의 소녀상 해외 건립을 추진했다. 그 때마다 일본의 훼방은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수원시의 독일 프라이브르크시 평화의 소녀상 건립 때 일본의 조직적 훼방이 잇따르면서 결국 프라이브르크 시장이 건립을 포기한 사실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수원시민들은 여기에 굴하지 않고 지난 3월 8일 독일 레겐스브르크시 인근 비센트에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하는 저력을 발휘했다.

앞으로 일본은 평화의 소녀상 해외 건립을 지속적으로 막을 터이다. 일본의 방해에도 이번 광복절을 기점으로 평화의 소녀상 해외 건립 운동을 좀 더 조직적으로 펼쳤으면 한다. 시민의 힘에 지자체와 정부도 힘을 보태야 한다. 박근혜 정부가 벌인 일본과의 불가역적 위안부 합의를 새 정부가 파기하고 일본측의 태도 변화를 강력히 촉구할 수 있도록 소녀상 건립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

37명의 위안부 할머니 명예를 지키고 일제가 민족을 수탈한 아픔을 잊지 않기 위해선 지역사회와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위안부 할머니들이 생존해 있을 때 일본의 사과를 받아내야 하는 책임도 후손들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