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원과 인간의 DNA를 거꾸로 추적해 보면 인간과 유인원의 분리는 대략 660만년전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 시기 지구는 격심한 기후변화로 열대우림이 줄어들어 유인원의 생활 영역이 좁아졌다.

인류의 조상은 생존경쟁에서 밀려나 안전한 열대우림에서 초원으로 내쫓긴 무리였다. 초원으로 내몰린 인류의 조상은 하이에나처럼 초원의 쓰레기 청소부로 맹수들이 사냥하고 남은 부산물을 먹으면서(육식) 뇌가 커지기 시작했다. 포식자에게 쫓겨도 피할 수 있는 숲이 없었기에 양손을 이용해 도구를 만들었고, 직립보행의 결과로 호흡방식이 변해 원숭이보다 목구멍이 낮아졌고, 후두 역시 자음과 모음을 발음하기 좋도록 변화했다. 그러나 직립보행은 여성의 골반을 줄어들게 만들었고, 그 결과 극심한 산고를 겪게 되었다. 게다가 갓 태어난 아기는 스스로 먹이활동이 가능할 때까지 엄마의 뒷바라지가 필요했다.


남성과 여성의 분업이 발생하게 되었고, 의사소통의 필요성 또한 커졌다.

고대 인류(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평균 수명은 11~12세에 불과했다. 여성은 평균 8~9세에 첫째를 낳고, 3~4년 뒤에 둘째를 낳았다. 인간의 아기가 태어나 걸음마를 하려면 만 12개월 이상을 키워야 한다. 만약 여성이 8~9세에 첫 임신을 해서 9~10세에 아이를 낳는다면, 아기의 부모는 아이가 성장하는 모습을 미처 보지 못하고 죽는다. 그렇다면 생존경쟁에서 밀려나 초원으로 쫓겨난 원시인류는 어떻게 그처럼 혹독한 환경에서 멸종하지 않고 살아남았을까? 고고학자들은 이 시대의 인류가 '너'와 '나'의 아이를 구별하지 않고 평등하게 양육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만약 인류가 내 아이만 귀하게 키웠다면 인류는 지금까지 생존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요즘 우리 사회는 아이를 키우는 여성을 상대로 '맘충(mom蟲)'이라고 비하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극심한 생존경쟁의 틈바구니에서 서로 내 자식만을 위하는 세태, 생명의 존귀함과 육아의 어려움에 대한 이해 없이 자기 입장과 이해관계만 내세운 결과이다. 만약 이런 사회가 지속된다면 인류의 생존은 몰라도 대한민국의 미래는 암담하다. 한 아이를 건강하게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황해문화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