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도정에서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 여부가 최대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 남경필 경기지사와 경기도의회가 버스 준공영제 시행 여부를 놓고 3개월째 갑론을박하고 있지만 해법은 오리무중이다. 현재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내년부터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경기도)는 주장과 '준비 미흡과 절차 미이행'(경기도의회) 등의 반대가 팽팽히 맞서고 있는 형국이다.
경기도는 시민과 버스운전자들의 안전을 위해서는 하루 빨리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경기도는 이에 따라 광역버스가 운행 중인 도내 24개 시·군 가운데 버스준공영제에 동참하기로 한 22개 시·군과 협약을 맺은 뒤 예산 확보를 거쳐 내년 1월1일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경기도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서울·인천 등 6개 광역시처럼 공공기관이 수입금을 관리하고 운행실적에 따라 원가를 보전해 주는 방식(수익금공동관리제)이다. 경기도와 시·군이 50%씩 재정을 분담하고 중장기적으로 경기도가 인·면허권을 각 시·군으로부터 회수하게 된다. 버스준공영제는 버스의 가동률을 높여 입석률을 낮추고 운전기사의 근로여건을 개선해 안전성을 높이는 장점을 지닌다. 대신 지자체의 재정부담은 단점으로 지적된다.

경기도의회의 반발기류도 만만치 않다. 경기도의회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는 더불어 민주당은 지난달 임시회에서 준비 부족과 절차 미이행 등을 이유로 광역버스 준공영제 관련 동의안 처리를 보류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경기도의회 내 더불어 민주당의 기세는 다소 누그러진 모양새다.
더불어 민주당의 김종석 수석부대표는 "이달 임시회 마지막 본회의(24일)를 앞두고 토론회와 연정실행위원회에서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민주당 내에서는 이를 두고 요식행위라는 비난도 일어 24일 처리 여부도 불투명하다.

버스 준공영제는 대중교통에 공공 개념을 도입한 제도다. 궁극적으로 국민과 운전자, 그리고 사업자 모두의 상생을 위해 버스 준공영제는 하루 빨리 시행해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상생과 협치의 묘안이 나오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