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기공식까지 열렸지만 한 발도 내딛지 못한 '영종~강화 도로 건설' 사업에 돌파구가 열릴지 주목되고 있다. 이 사업이 정부의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에 포함될 지 여부가 사업 재개의 관건이기 때문이다. 정부 계획에 반영되면 국비 지원이 가능해 사업이 탄력을 받게 된다. 성대한 기공식까지 가졌지만 7~8년의 시간을 흘려보낸 것은 사업비 때문이다.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부동산 경기 침체로 민간자본의 투자 여건이 악화된 때문이다. 그러나 영종∼강화 도로는 인천의 미래가 걸린 매우 중요한 사업이다. 당장은 비용 대비 편익의 비율이 높지 않겠지만 장차 인천의 큰 그림을 그리는 데 있어 초석이 될 사회간접자본이다.


행정안전부는 이 달 안에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수정안을 심의할 것이라고 한다. 인천시는 지난 8월 행안부와 이 사업을 재정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협의했다고 한다.

인천시의 방안은 영종도~신도 구간은 1단계 재정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것이다. 2단계 신도~강화 구간은 민자사업으로 건설하는 방안이다. '접경지역 지원 특별법'은 접경지역 도로 건설에 필요한 비용의 일부를 국비로 지원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영종~강화 도로는 전체 14.6㎞의 구간에 신도를 중심으로 2개의 해상교량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6350억원 규모이다. 민선 6기 공약에도 담겼지만 경제성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2014년 타당성 조사에서는 비용 대비 편익 비율이 2차로로 건설했을 때 0.76, 4차로의 경우 0.59로 나왔다.

그러나 이는 소극적인 계량 분석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인천의 무한 발전 가능성을 담고 있는 강화도는 현재는 인천과 격리돼 있다. 뭍으로는 경기도 김포시를 거쳐야 하고 바다로는 뱃길조차 없다. 그러나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지닌 강화도가 영종~강화 도로를 통해 인천 도심으로 다가오게 되면 인천의 크나 큰 자산이 된다. 나아가 이 사업은 북한의 개성·해주까지 연결될 수 있는 '남북 평화도로'의 출발선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인천시는 적극적으로 이 사업이 지닌 의미를 설득시켜 국가단위 계획에 반영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