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바다에서 15명의 희생자를 낸 인천 영흥도 앞바다의 해난사고도 시작은 안전불감증이었다. "낚싯배를 봤지만 피해갈 줄 알았다"는 것이다. 해상 종사자들의 안전의식이 이대로 간다면 아무리 법을 뜯어 고치고 세금을 퍼부어도 기대할 것이 없다. 언제까지 이렇게 갈 것인가. 온 나라를 뒤흔들었던 세월호 사태를 겪고도 아직도 후진국형의 안전의식이라니. 이번 영흥도 낚싯배 참사는 이 나라 모든 분야에서 안전의식 재확립의 계기가 돼야 한다.

우리가 알게 모르게 인천 앞바다는 크고 작은 해상사고로 얼룩지고 있다고 한다. 최근 5년간 인천항과 진입로 수로에서 발생한 선박사고는 모두 106건이었다. 세월호 사고가 난 2014년 16척이던 것이 2015년에는 23척, 지난해엔 44척으로 급증 추세를 보였다. 사고 원인을 들여다 보면 '경계 소홀(전방 주시 태만)'이 절반 이상이라고 한다. 선박을 운항하면서 먼 산을 보거나 딴 짓을 한다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전국적으로 보면 '경계 소홀' 외에도 결국 인적 과실로 귀결되는 사고가 95%를 차지한다고 한다. 항법 규정에는 다른 선박을 앞지를 때 충분한 거리를 두고 기적을 울리며 추월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영흥도 사고에서는 그 어느 것도 지켜지지 않았다. 2인 1조라는 당직 수칙조차도 지켜지지 않았다.

애초에 사고에 대한 경각심조차도 없었다는 뜻이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영흥수도에 대해서도 VTS(해상교통관제센터) 범위에 포함해야 한다는 방안이 나왔다. 또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첨단 해상 내비게이션이 하루 빨리 실현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그러나 이 모든 것도 직접 선박을 운항하는 사람들의 안전의식이 전제되지 않으면 대책이 없기는 마찬가지다.인천 앞바다의 선박 사고들을 뜯어보면 기관 고장이나 항로 문제 등 인적 과실 밖의 원인은 10% 미만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같은 해상재난들은 평소의 안전의식만으로도 충분히 피할 수 있는 재난이라는 얘기가 된다. 소중한 인명과 거액의 재산이 걸린 선박을 운항하면서 "알아서 피해 가겠지"라는 생각을 했다니 놀랍다. 선박 운항 종사자들에 대한 교육과 강력한 패널티가 요청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