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영 정경부 차장
이주영.jpg
20일 남았다. 4년마다 돌아오는 지방선거에서 인천은 이번에 167명의 새 인물을 뽑는다.
여기에 남동 갑 국회의원 보궐선거까지 더하면 168명이 새롭게 300만 인천시민의 삶을 대변한다. 인물난을 지적하는 시민, 나하고는 관계 없다고 외면하는 주민…. 선거에 냉소적 반응은 늘 있지만 나라의 근간인 민주주의에서 선거는 분명 국민의 권리이자 의무이다.
아직 변수는 많다. 여론조사의 헛점에도 수치를 향한 관심은 크다. 오차범위를 훌쩍 넘긴 선거판에도 섣불리 재단할 수 없다.

풀릴 듯 더 꼬인 정국과 훈풍을 만난 듯했던 남북관계는 여전히 살얼음판이다. 경제는 장담할 수 없는 안갯속이다. 여야 샅바싸움, 남북관계, 경제 등 무엇하나 시원하지 않다.
힘겹게 돌아가는 이들 태엽 중 하나라도 궤도를 이탈하는 순간 6·13지방선거는 다시 혼란에 빠지게 된다. 이 때문일까. 유독 이번 선거에 인천은 안 보인다. '말' 그대로 지방선거인데 인천이 빠져버린 느낌은 기자만 그럴까.

후보마다 공약을 내놓는다. 당연하고 대단한 약속들이다. 사통팔달 인천의 길을 뚫고 일자리를 늘린다.
규제를 풀고 기업 유치에 나선다. 예상했던 공약들이다. '인천이 발전해야 시민은 행복할까, 시민 행복이 곧 인천 발전일까'. 원론적 궁금증 앞에 후보 공약을 펼쳐본다. 공약 중 시민 마음 속에 진심으로 꽂힌 사항은 뭘까.

다른 얘기를 할까 한다.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행사 취재에 우리측 기자단 방북이 어렵게 성사됐다.
십 수년 전 국내 최초로 성사됐던 인천일보 방북 취재단 때도 그랬다. 초청장까지 수령했고 일정까지 조율됐던 상황. 중국 베이징 북한 영사관에서 사증을 신청했지만 "조국에서 연락이 안 왔다"며 돌려보냈다.
다음날 다시 찾은 북한 영사관에서, 평양행 고려항공 비행기 시간은 다가오는 데도 "집에 가시라"는 말만 이어졌다. 그리고 "따르릉" 걸려온 전화 한 통화. "조국서 승인됐으니 가라"였다.

사증 수령에 우여곡절을 겪었고 비행기 놓칠까 조마조마했던 그 때 평양에 도착하니 "오시느라 힘드시지 않았냐"는 속보이는 질문까지. 이번 기자단 방북 논란을 보면서 크게 우려하지 않았다.
그렇게 지방선거 변수인 남북 문제의 파고를 하나 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