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올 351억 들여 6500개 창출 … "고용환경 개선도 노력"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정책 과제로 추진하고 있지만 고용시장은 최악의 수준이다.

통계청의 올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1만2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취업자 증가 수가 2010년 1월 이후 8년여만에 최소였던 2월의 10만4000명에 이어 10만명대로 머물면서 '고용 쇼크' 상황이 두 달째 이어졌다.

3월 실업자 수 역시 125만7000명으로 1월부터 3개월 연속 100만명대 고공행진을 지속했다. 특히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11.6%로, 2016년 3월(11.8%) 이래 2년 만에 가장 높았다. 정부의 일자리 지원 정책과 지표상 경기회복에도 우리 경제의 고용창출력이 날로 악화하는 추세다.

부천시가 일자리 가뭄 해결을 위한 '단비 일자리 사업' 비전으로 부천형 일자리 창출 모델 개발이 괄목스럽지는 않지만 전국 평균치를 웃돌고 있는 것은 그나마 희망적이다.

단비 일자리는 2016년 95억원의 예산으로 61개 사업을 통해 2058명에게 새로운 공공일자리를 제공했으며 2017년에는 260억원의 예산으로 96개 사업을 통해 5691명에게 단비 일자리를 제공, 두 배 수치의 일자리 가뭄을 해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시는 올해 351억원의 단비 일자리 예산을 투입하여 청년 및 여성, 노인, 장애인 등 취업 취약계층에 6500여개의 공공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단비 일자리 사업이 안정적인 일자리로 정착시킨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단비와 같은 공공일자리 창출도 중요하지만 경기활성화와 직간접으로 관계되는 민간기업 일자리 창출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아쉬움으로 지적되고 있다. 단순히 일자리의 질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다가오는 미래의 불안으로부터 지역 노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까지 고민하는 계기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지역의 일자리 환경을 면밀히 분석, 전국 최고 수준의 근로시간과 초과근무 행태를 개선해 일과 가정 양립문화 확산에 방점을 둬야 한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또 원·하청, 남·여, 정규·비정규직 간 격차 및 차이를 완화, 양질의 고용환경을 구축한다는 전략이 필요하다.

지난해 중견기업에서 정년퇴직한 이수현(61)씨는 "제대로 된 지역 일자리 거버넌스 구축과 일자리 창출 중장기 과제 발굴은 물론 저출산과 고령화, 4차산업혁명 등으로 일자리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추세에서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 모델 개발이 더욱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용우 시 일자리 경제과장은 "부천형 공공일자리인 '단비 일자리'가 큰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민간기업 일자리 창출은 건설경기 부진과 최저임금 인상 등의 고용상황 악화 원인이 되고 있는 만큼 정책적인 경기환경이 호전되면 재빠르게 대응해 일자리를 높여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부천=강훈천 기자 hck1229@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