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수도권 '수산물 유통망'의 중심이다. 수산물 유통 단계의 고부가가치화 차원에서 인천은 그야말로 적지(適地)라고 할 수 있다. 각종 수산물이 인천에 모여 쌓이는 터라 가격 안정을 꾀하는 데도 안성맞춤이다. 생산지와 소비지가 인접한 인천에선 물류비를 그만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천은 아울러 지역 수산 특산물을 산지에서 바로 가공해 소비자한테 신속히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도 지녔다. 품질이 뛰어난 제품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정부가 전국 단위 수산물 유통 혁신 '로드맵'을 짰다. 수도권에선 인천을 중심으로 새 수산물 유통망을 구축한다. 해양수산부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수산물 유통 발전 기본계획을 세웠다.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유통 기반 조성, 수산물 유통 단계의 고부가가치화, 수산물 수급 조절을 통한 가격 안정 도모, 수산물 유통산업의 도약 기반 마련 등 4대 전략이 계획에 포함된다. 하지만 무엇보다 수산물 처리 과정에서 품질과 위생 수준을 높이는 게 관건이다. 소비자들에게 수산물을 안전하게 공급하려면 관리 방안을 세밀하게 짜야 한다. 이번 로드맵 핵심은 수산물이 모이는 곳에 '소비지 분산물류센터(FDC)'와 '수산물산지거점유통센터(FPC)'를 세워 유통망을 혁신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인천에선 2020년까지 강화에 FPC(2137㎡)가, 중구에 FDC(1만6779㎡)가 각각 들어선다고 한다. 두 시설을 조성하면 유통 구조가 6단계에서 4단계로 간소화한다. 소비자들이 더 싼 가격에 다양하고 안전한 수산물을 접할 수 있는 셈이다. 여기에 내년 초 인천 중구에 수산물수출물류센터가 완공되면, FPC·FDC와 함께 상승효과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소비자들은 안심하고 수산물을 대할 수 있지만, 그 '안전 관리'를 철저히 하는 일은 수산업 종사자 모두의 몫이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에서 보듯, 우리 식탁에 오르는 수산물의 이력을 추적하는 것도 시급한 문제다. 소비자들이 수산물에 불신을 하는 상황이라면, 아무리 정부와 수산 관계자들이 '안심하고 먹어도 괜찮다'고 외쳐도 소용 없다. 수산물 유통망 혁신과 함께 국민 건강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