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북 경제특구 3곳 밀집 … 인천항 연결땐 물동량 대거 확보 가능"
남북 해양수산 협력 사업과 북한 경제특구 개발을 연계했을 때 환서해권에 있는 신의주가 투자 지역으로 적합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북한 경제특구 3곳을 품은 신의주 항만과 인천항을 잇는 뱃길을 열어 서해권 물류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22일 '북한 경제특구를 활용한 남북 해양수산 협력 필요'란 주제의 동향 분석 자료에서 "북한이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와 우리나라 해양수산 관련 업체의 이해를 만족시키는 방향에서 북한 경제특구를 개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며 이런 의견을 내놨다.

신의주 지역은 기존 남북 직항로에 포함돼 있지 않지만, 북한 경제특구 3곳이 밀집돼 있고 자강도 지역의 경제특구 물량까지 흡수할 수 있다는 게 KMI의 설명이다.

KMI는 "특히 북한은 신의주를 동북아 물류 허브로 개발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며 "신의주에 대한 해운·항만 부문 투자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KMI는 또 평양을 배후 권역으로 두고 있고 수출입 물량이 많은 남포항도 관심을 둬야 하는 경제특구 지역으로 꼽았다.

이와 함께 남북 협력 사업으로서 우리나라가 북한 연안 운송권을 확보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KMI는 "북한의 연안 해운 사정이 열악한 점을 감안해 남북이 공동 투자 형태로 선사를 설립해 경제특구를 연결하는 북한 연안 항로 운항 사업도 검토해 봐야 한다"며 "북한 항만에서 우리나라 선사가 중국과 러시아, 동남아 등으로 선박을 운항하는 제3국 운송 사업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천 항만업계도 남북 경제 협력 시 인천항과 상승효과를 낼 수 있는 북한 항만으로 남포항과 신의주항을 주목하고 있다.

앞서 인천항만공사가 5·6월 2차례 개최한 남북 경제 협력 세미나에선 인천항이 남포항과 신의주항, 해주항 등 북한 서해항만의 환적항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북 수출입 물동량이 늘어나고 북한 항만 개발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질 수 있다는 것을 장점으로 꼽았다.

인천항을 중심으로 남·북·중 간 '트라이앵글 물류 네트워크'가 구축돼야 한다는 의견과 남포~해주~인천~평택을 연결한 남북 서해권 통합항만공사를 설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뒤따랐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